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ncludes()
- setDate
- isNaN()
- useEffect()
- useState()
- parseInt()
- React
- map()
- Number()
- slice()
- filter()
- substring()
- sort()
- useRef()
- Math.sqrt()
- 3진수
- getday()
- new Date()
- Math.floor()
- 교집합
- repeat()
- 차집합
- indexOf()
- jsx반복문
- toUpperCase()
- reat if문
- 항해99솔직후기 #항해99장점 #항해99단점 #부트캠프추천
- charAt()
- Eventlitener
- 소수점 올림내림
- Today
- Total
개발자로 전향중
[백준] 1149 RGB거리 본문
문제를 풀기 위한 아이디어
규칙이 복잡해보이지만 숫자를 대입하여 생각해보면 결국 바로 인접한 집끼리만 다른 색이면 된다는 것이다.
일단 주어진 각 집을 빨강,초록,빨강으로 칠하는 비용들을 2차원 배열에 저장한다.
input = [
[26, 40, 83],
[49, 60, 57],
[13, 89, 99]
]
그 다음으로는 첫번째집을 R로 칠한 경우 / 첫번째 집을 G로 칠한 경우 / 첫번째 집을 B로 칠한 경우를 모두 다 따져주면 된다.
이를 점화식으로 세우면, 두번째 집부터는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성립한다.
input[i][0] = min(input[i-1][1], input[i-1][2]) + input[i][0]
input[i][1] = min(input[i-1][0], input[i-1][2]) + input[i][1]
input[i][2] = min(input[i-1][0], input[i-1][1]) + input[i][2]
즉 현재 집이 R로 칠했다는 것은 바로 직전의 집이 G, B 중에 최솟값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집이 G로 칠했다는 것은 바로 직전의 집이 R, B 중 최솟값이었다는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현재 집이 B로 칠했다는 것은 바로 직전의 집이 R, G 중 최솟값이었다는 것이 된다.
그리고 해당 칸에 자기 자신을 더한 것을 누적한다.
그렇게 끝까지 구하면 맨 마지막 집의 R, G, B 중 최솟값을 출력하면 그것이 모든 집을 최소 비용으로 규칙에 맞게 칠한 것이 된다.
매우 간단한 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 시간 복잡도가 O(N)으로 한번만 돌면서 모든 것을 처리할 수 있다.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예제.txt").toString().split("\n");
const N = Number(input[0]);
input.shift();
input = input.map((value) =>
value.split(" ").map((element) => Number(element))
);
for (let i = 1; i < N; i++) {
input[i][0] = Math.min(input[i - 1][1], input[i - 1][2]) + input[i][0];
input[i][1] = Math.min(input[i - 1][0], input[i - 1][2]) + input[i][1];
input[i][2] = Math.min(input[i - 1][0], input[i - 1][1]) + input[i][2];
}
console.log(Math.min(...input[N - 1]));
출처: https://nyang-in.tistory.com/266
점화식: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ao9364&logNo=221651296608
'자료구조&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 및 공간 복잡도(Space Complexity) (0) | 2022.08.29 |
---|---|
[백준] 통계 (0) | 2022.04.02 |
[백준] 11053번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0) | 2022.03.23 |
[백준] 분해합 (0) | 2022.03.21 |
[백준] 11047 동전0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