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소수점 올림내림
- useState()
- React
- map()
- Math.sqrt()
- reat if문
- Math.floor()
- Number()
- substring()
- slice()
- setDate
- indexOf()
- 항해99솔직후기 #항해99장점 #항해99단점 #부트캠프추천
- 3진수
- Eventlitener
- new Date()
- charAt()
- jsx반복문
- 교집합
- isNaN()
- parseInt()
- getday()
- toUpperCase()
- sort()
- 차집합
- includes()
- useEffect()
- useRef()
- filter()
- repeat()
- Today
- Total
목록Book (4)
개발자로 전향중
리팩터링: 소프트웨어의 겉보기 동작은 그대로 유지한 채 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기 쉽도록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기법예시 코드가 없는 텍스트이기 때문에 기억에 남는 글만 기록하겠다. 두개의모자목적이 기능추가 또는 리팩터링이냐를 명확히 구분해 작업을 한다. 리팩터링을 하면 버그를 쉽게 찾을 수 있다.뛰어난 프로그래머는 아니지만 좋은 습관을 가진 프로그래머가 되자! 언제 리팩터링을 해야할까 (3의 법칙)1. 처음에는 그냥 한다.2. 비슷한 일을 두 번째로 하게 되면(중복이 생겼다는 사실에 당황스럽겠지만), 일단 계속 진행한다.3. 비슷한 일을 세 번째 하게 되면 리팩터링 한다. 준비를 위한: 리팩터링리팩터링하기 가장 좋은 시점은 코드베이스에 기능을 새로 추가하기 직전이다. 함수 매개변수화하기 를 적용해서 중복 ..

1-8 다형성을 활용해 계산 코드 재구성하기 다형성이란?*다형성(Polymorphism)**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같은 인터페이스나 부모 클래스를 공유하는 객체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능력 쉽게 말해, 같은 기능을 하더라도 객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 예시 (현실 비유):"동물"이라는 공통된 행동: 모두 소리를 낼 수 있음.하지만, 각 동물마다 소리는 다름:개: "멍멍"고양이: "야옹"소: "음메"나는 React를 쓰기 때문에..React에서 다형성React에서는 클래스 기반이 아닌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하면서, 다형성을 컴포지션(Composition), 조건부 렌더링, 동적 매핑을 통해 구현합니다.React에서 다형성은 다음과 같이 사..

1탄을 작성하기 위해 2시간 가량 집중해서 정독했는데 느낀점은 지금까지 나는 어떻게 코드를 짰던걸까? 하는 의문점이 들었다..기능을 돌아가게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리팩터링을 하며 수정이 용이하고 확장 가능한 설계를 하는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닫게 되었다. 정확하게는 리팩터링은 어떻게 하는것인가의 기준이 생기기 시작했다. 2탄의 시작은 책 내용 기준 1.5 중간 점검: 난무하는 중첩 함수부터이다. 지금까지는 프로그림의 논리적인인 요소를 파악하기 쉽도록 코드의 구조를 보강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리팩터링을 했다면 이제 HTML 버전을 만드는 작업을 살펴보자=> 해당 부분은 텍스트로만 봤을 때는 이해가 잘안되었다. 계산 코드가 분리됐다:데이터 처리나 비즈니스 로직 같은 복잡한 계산 작업은 별도의 파일이나 함수로..
어느덧 개발자로 커리어를 쌓아간지 2년이 지났다. 뭐 일단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에서 주니어로에서 0.1% 나아진 기분이다. 진행하던 프로젝트가 커지고 코드 퀄리티를 고민하게 되면서 캡슐화, 추상화, 컴포넌트 분리, 렌더링, 사이드 이펙트 등등 기초적인 코드와 리액트가 어떻게 사용되어야 좋은 코드인지 검색 또는 인강으로만 찾아봤지 책을 읽어볼 생각은 못했다..(핑계) 그러다 어느 블로그를 보고 이 책을 알게 되었고 이제부턴 나의 코드 교과서처럼 사용하기 위해 정리를 시작한다. 난 기본적으로 하나의 뿌리를 제대로 심는걸 좋아한다. 책의 코드를 복사해서 넣고 이게 어떤 쓰임새인지 등등 정리를 해도 안볼걸 알기 때문에 개념을 위주로 기록을 할 예정이다. 그리고 개념을 바탕삼아 향후 코드를 짤때는 최대한 적용 할..